아키 카우리스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키 카우리스매키는 핀란드의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 편집자, 배우이다. 1981년 형 미카 카우리스매키와 함께 영화 《거짓말장이》를 제작하며 영화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죄와 벌》(1983),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1989), 《과거 없는 남자》(2002), 《희망의 저편》(2017), 《낙엽》(2023) 등 여러 작품을 연출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는 고도의 미니멀리즘 스타일과 사회 비판적인 주제를 다루는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정치적, 사회적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핀란드의 이민 정책과 NATO 가입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에 거주한 핀란드인 - 톰미 랜티넨
핀란드의 음악가 톰미 랜티넨은 2000년 데뷔 앨범 발매 후 여러 솔로 앨범을 발표했으며, 핀란드로 돌아와 에스포에 거주하고 있다. - 패이얘트해메 지역 출신 - 발테리 보타스
발테리 보타스는 핀란드의 포뮬러 원 드라이버로, 윌리엄스와 메르세데스를 거쳐 현재 알파 로메오에서 활동하며 F3 유로 시리즈와 GP3 시리즈 우승, 포뮬러 원 10회 우승 및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십 준우승 2회를 기록했다. - 패이얘트해메 지역 출신 - 사투 매켈래눔멜라
사투 매켈래눔멜라는 1988년 사격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1995년 세계 산탄총 선수권 대회 동메달, 2006년 월드컵 여자 트랩 금메달,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여자 트랩 금메달을 획득한 핀란드의 사격 선수이다. - 핀란드의 영화 감독 - 페테르 프란센
핀란드의 배우, 작가, 영화 감독인 페테르 프란센은 50편 이상의 작품에 출연하며 유시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드라마 《바이킹》의 하랄 하르드라다 역과 영화 《어두운 물 위에서》 연출을 통해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 핀란드의 영화 감독 - 하산 블라심
이라크 출신 핀란드 작가이자 영화감독인 하산 블라심은 정부 압력으로 망명하여 핀란드 시민권을 얻었으며, 종교적, 성적, 정치적으로 민감한 주제를 다루는 작품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지만 아랍어판 출판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아키 카우리스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키 카우리스마키 |
원어 이름 | Aki Olavi Kaurismäki |
출생일 | 1957년 4월 4일 |
출생지 | 오리마틸라, 핀란드 |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영상 편집자 영화 프로듀서 |
배우자 | Paula Oinonen(가상링크) |
형제자매 | 미카 카우리스마키(형) |
수상 내역 | |
칸 영화제 | 심사위원 특별 대상 2002년 과거가 없는 남자 심사위원상 2023년 낙엽 국제영화비평가 연맹상 2011년 르 아브르 에큐메니칼 심사위원상 2002년 과거가 없는 남자 공로상 2016년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은곰상 (감독상) 2017년 희망의 건너편 국제영화비평가 연맹상 1992년 라비 드 보엠 |
전미 비평가 협회상 | 외국어 영화상 1990년 성냥공장 소녀 2003년 과거가 없는 남자 2023년 낙엽 |
기타 수상 | 루이 델뤼크상 2011년 르 아브르 |
주요 작품 | |
주요 작품 | 파라다이스의 석양 성냥공장 소녀 레닌그라드 카우보이스 시리즈 진흙 속의 소녀 킬러는 밤에도 운다 라비 드 보엠 사랑의 타치아나 구름 속의 영혼 과거가 없는 남자 어둠은 걷히고 르 아브르 희망의 건너편 낙엽 |
기타 정보 | |
핀란드어 표기 | Aki Olavi Kaurismäki |
설명 | 핀란드 탱고 사랑을 설명합니다. The Economist |
2. 영화 경력
탐페르 대학교에서 미디어를 전공한 카우리스매키는 여러 직업을 전전하다 영화 평론가로 시작하여 시나리오 작가, 감독의 길을 걷게 되었다.[36] 형인 미카 카우리스매키와 함께 영화 《거짓말장이》(1981년)를 만들었고, 빌레알파 필름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미드나이트 선 필름 페스티벌에도 진출했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을 각색한 《죄와 벌》(1983년)로 감독 데뷔를 하였고,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1989년)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1989년에는 포르투갈로 이주했으며,[37] 1992년 뉴욕 타임스의 빈센트 캔비는 그를 "90년대 유럽의 가장 중대한 영화인"으로 평가했다.[38]
1986년 작품인 《황혼의 파라다이스》가 도쿄 국제 영화제와 칸 영화제에 출품되어 국제적으로 주목받았다. 2002년에는 《과거가 없는 남자》로 칸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 대상을 받았고,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도 올랐다. 2017년에는 《희망의 건너편》으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감독상)을 받았으나,[31] 이 작품을 마지막으로 은퇴를 선언했다.[32] 2023년 은퇴를 번복하고 복귀작 《낙엽》으로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을 받았다.
2. 1. 초기 경력
탐페르 대학교에서 미디어를 전공한 카우리스매키는 벽돌공, 우체부, 접시닦이 등의 직업을 전전하다가 평론가, 시나리오 작가, 감독의 길을 가게 되었다.[36] 미카 카우리스매키가 만든 영화 《거짓말장이》(1981년)에 공동 작가이자 배우로 참여하면서 영화 경력을 시작했다. 두 사람은 함께 빌레알파 필름 프로덕션을 차리고 미드나이트 선 필름 페스티벌에도 진출하였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을 현대 헬싱키를 배경으로 각색한 독립영화 《죄와 벌》(1983년)로 감독 데뷔를 하였고,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1989년)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37]2. 2. 감독 데뷔와 국제적 명성
카우리스매키는 탐페르 대학교에서 미디어를 전공하고, 벽돌공, 우체부, 접시닦이 등의 직업을 전전하다가 영화 평론가로 영화계에 발을 들였다.[36] 이후 시나리오 작가이자 감독으로 활동하게 된다. 그의 형 미카 카우리스매키가 만든 영화 《거짓말장이》(1981년)에 공동 작가이자 배우로 참여한 것이 영화계에서의 첫 경력이다. 형제는 함께 빌레알파 필름 프로덕션을 설립하고 미드나이트 선 필름 페스티벌에도 진출하였다.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죄와 벌》을 현대 헬싱키를 배경으로 각색한 독립영화 《죄와 벌》(1983년)로 감독 데뷔를 하였고,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1989년)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게 된다. 1989년, 카우리스매키는 "헬싱키에는 더 이상 내가 카메라를 놓을 자리가 없다"며 아내 폴라 오이노넨과 함께 포르투갈로 이주했다.[37] 1992년, 뉴욕 타임스의 영화 평론가 빈센트 캔비는 카우리스매키에 대해 "독창적이다.. 영화계에서 가장 독특하고 특이한 신예 감독으로 아마도 가장 진지한 감독들 중 하나일 것이다... 그는 분명 90년대 유럽의 가장 중대한 영화인으로 기록될 것이다"라고 평가했다.[38]
2. 3. 주요 작품 활동
탐페레 대학교에서 미디어를 전공한 카우리스매키는 벽돌공, 우체부, 접시닦이 등의 직업을 전전하다가 평론가, 시나리오 작가, 감독의 길을 걷게 되었다.[36] 그의 첫 작품은 형 미카 카우리스매키와 함께 만든 영화 거짓말장이(1981년)로, 공동 작가이자 배우로 참여했다. 형제는 함께 빌레알파 필름 프로덕션을 설립하고 미드나이트 선 필름 페스티벌에도 진출하였다.카우리스매키의 독립영화 데뷔작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을 현대 헬싱키를 배경으로 각색한 죄와 벌(1983년)이다. 그는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1989년)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37] 1992년 뉴욕 타임스의 영화 평론가 빈센트 캔디는 카우리스매키에 대해 "90년대 유럽의 가장 중대한 영화인으로 기록될 것이다"라고 평가했다.[38]
3. 영화 스타일
카우리스매키의 작품 상당수는 헬싱키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오징어 노동조합》, 프롤레타리아 3부작(《천국의 그림자》, 《아리엘》, 《성냥공장 소녀》), 핀란드 3부작(《어둠은 걷히고》, 《과거가 없는 남자》, 《황혼의 빛》) 등이 대표적이다. 그가 묘사하는 헬싱키는 비판적이고 낭만적이지 않다. 등장인물들은 종종 헬싱키를 떠나고 싶어하며, 실제로 어떤 인물들은 멕시코 (아리엘)나 에스토니아 (천국의 그림자, 오징어 노동조합, 타타아나, 당신의 스카프를 조심하세요)로 떠나기도 한다.
각본을 쓸 때는 배역을 정하고 나서 등장인물의 성격을 구체화하는, 이른바 맞춤형 캐스팅 방식을 사용한다. 마티 펠론파와 카티 오우티넨을 비롯한 친숙한 배우들을 자주 기용하며, 이들은 카우리스매키 작품을 통해 국제적인 연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촬영은 거의 모든 작품을 티모 살미넨(Timo Salminen영어)이 담당한다. 흑백 또는 채도를 낮춘 무기적인 색채, 카메라 움직임이 적은 담담한 터치를 일관되게 채택하고 있다. 코미디 작품도 같은 스타일로, 언뜻 문예적이고 오프비트한 유머 감각을 자아낸다.
장피에르 멜빌, 자크 베케르, 로베르 브레송, 존 카사베츠 등의 감독에게서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으며, 평론가들은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의 영향도 있다고 평가한다. 일본 감독 중에서는 형의 권유로 본 오즈 야스지로를 존경하며, 구로사와 아키라도 연구했다고 한다.
미국의 영화 감독 짐 자무시와 친분이 있으며,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에는 그가 중고차 판매원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컨트랙트 킬러》에 게스트 출연한 뮤지션 조 스트러머는 자무시가 카우리스매키에게 소개했다.
카우리스매키는 디지털 촬영 기법에 대해 "악마의 발명품"[43]이라며 비판하며, "나는 평생 디지털 영화를 찍지 않을 것이다"[44]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4년 3월, 그는 "나의 조촐한 영화 작품들이 앞으로도 관객들과 만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재 유통되는 디지털 형태와 미래의 어떤 다른 형태들로 변환되어야 할 것이다"라며 디지털 기술과 결국 화해했다.[43]
카우리스마키는 헬싱키에 영화관, 술집, 그리고 로베르 브레송의 영화 《돈》의 대형 포스터가 붙어있는 당구장이 있는 복합 건물을 공동 소유하고 있다. 그곳에는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모세를 만나다》에 나오는 주크박스도 있다.[45]
아키 카우리스마키가 좋아하는 영화 | |
---|---|
colspan="2" | | |
colspan="2" | |
그의 부인인 파울라 오이노넨(Paula Oinonenfi)은 화가이며, 몇몇 작품의 포스터 그림을 담당하고 있다.
3. 1. 미니멀리즘
카우리스매키는 고도의 미니멀 스타일로 유명하다. 그는 작가주의 감독이라 칭해져 왔는데[39][40] 본인이 각본을 쓰고, 감독하고 제작하고 보통은 자신이 편집도 하면서 자신만의 "해학과 무표정한 유머"[41]가 담긴 스타일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카우리스매키는 함축성있는 간결한 대사로 유명한데 꾸밈없고 직접적인 표현에 엄격하리만큼 표준어를 사용하며 감정이나 극적 효과를 드러내지 않는다. 배우들은 종종 가만히 서서 마치 뭔가 심오한 진리인 것처럼 대사를 읊조리고는 한다. 배우들은 거의 웃지 않으며 슬프게 고개를 끄덕이거나 줄담배를 피운다. 카메라는 보통 고정되어 있다.[42] 사건들은 무덤덤하게 진행되며 영화 속 인물들은 대부분 홀로 사건들의 결과를 마주한다. 하지만 패배와 비극들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포기하지 않으며 결국 돌파하며 살아나간다.[40]카우리스마키는 극도로 미니멀한 스타일로 유명하다. 그는 자신이 직접 각본을 쓰고, 연출하고, 제작하고, 편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토르(Auteur theory)로 불린다.[7][8] 그의 개인적인 "익살스럽고 무표정한"[9] 스타일을 영화에 반영한다. 카메라는 보통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10] 사건들은 단순하게 묘사되고, 등장인물들은 보통 혼자 남겨져 결과에 직면한다. 하지만 비극과 좌절에도 불구하고 등장인물들은 포기하지 않고 결국 살아남는다.[8]
3. 2. 사회적 주제
카우리스매키는 영화에서 사회 최하층에 속하는 노동자나 실업자를 주인공으로 삼아 짓밟히는 인간성과 그 회복을 그리는 경우가 많다. 연애, 범죄, 죽음, 여행, 음악 등 옛 영화의 오락적 요소를 계승하면서도 과장된 연기나 극적인 대사는 피하며 현실적인 연출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능글능글하면서도 인간미 넘치는 인간 찬가를 타고난 유머로 표현한다. 로케이션 촬영을 통해 핀란드의 서민적인 풍속과 풍경을 보여주는 것도 볼거리이다.3. 3. 유머
카우리스매키는 극도로 절제된 스타일로 유명하다. 그는 자신이 직접 각본을 쓰고, 연출하고, 제작하고, 편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작가주의 감독으로 불린다.[39][40] 그의 영화에는 개인적인 "해학과 무표정한 유머"[41]가 담겨 있다. 카우리스매키는 함축적이고 간결한 대사로 유명한데, 꾸밈없고 직접적인 표현에 엄격하리만큼 표준어를 사용하며 감정이나 극적 효과를 드러내지 않는다. 배우들은 종종 가만히 서서 마치 뭔가 심오한 진리인 것처럼 대사를 읊조리고는 한다. 배우들은 거의 웃지 않으며 슬프게 고개를 끄덕이거나 줄담배를 피운다. 카메라는 보통 고정되어 있다.[42] 사건들은 무덤덤하게 진행되며 영화 속 인물들은 대부분 홀로 사건들의 결과를 마주한다. 하지만 패배와 비극들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포기하지 않으며 결국 돌파하며 살아나간다.[40]3. 4. 시대적 배경과 소품
카우리스매키는 극도로 절제된 스타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이 직접 각본을 쓰고, 연출, 제작, 편집까지 하는 경우가 많아 작가주의 감독으로 불린다.[39][40] 그의 영화는 "해학과 무표정한 유머"가 담긴 스타일을 보여준다.[41] 카우리스매키는 함축적이고 간결한 대사로 유명한데, 꾸밈없고 직접적인 표현에 표준어를 사용하며 감정이나 극적 효과를 드러내지 않는다. 배우들은 가만히 서서 대사를 읊조리고, 거의 웃지 않으며 슬프게 고개를 끄덕이거나 줄담배를 피운다. 카메라는 보통 고정되어 있다.[42] 사건들은 무덤덤하게 진행되며, 등장인물들은 홀로 결과를 마주한다. 하지만 패배와 비극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포기하지 않고 결국 살아남는다.[40]카우리스매키는 의도적으로 1960년대와 1970년대를 떠올리게 하는 등장인물, 소품, 배경을 사용한다.[40]
3. 5. 영향
카우리스매키는 극도로 절제된 스타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이 직접 각본을 쓰고, 연출하고, 제작하고, 편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작가주의 감독이라 불린다.[39][40] 그는 자신만의 "해학과 무표정한 유머"[41]를 영화에 담아낸다. 카우리스매키는 함축적이고 간결한 대사로 유명하며, 꾸밈없고 직접적인 표현과 엄격하리만큼 표준어를 사용하여 감정이나 극적 효과를 드러내지 않는다. 배우들은 종종 가만히 서서 마치 뭔가 심오한 진리인 것처럼 대사를 읊조린다. 배우들은 거의 웃지 않으며 슬프게 고개를 끄덕이거나 줄담배를 피운다. 카메라는 보통 고정되어 있다.[42] 사건들은 무덤덤하게 진행되며 영화 속 인물들은 대부분 홀로 사건들의 결과를 마주한다. 하지만 패배와 비극들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포기하지 않으며 결국 돌파하며 살아나간다.[40]카우리스매키의 작품들 대부분은 헬싱키를 중심으로 진행되는데, <오징어 노동조합>을 비롯하여 프롤레타리아 3부작(<천국의 그림자>, <아리엘>, <성냥공장 소녀>)과 핀란드 3부작(<어둠은 걷히고>, <과거가 없는 남자>, <황혼의 빛>) 등이 그렇다. 헬싱키를 그리는 그의 관점은 비판적이고 낭만이라고는 없다. 등장인물들은 종종 헬싱키를 떠나고 싶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들은 <아리엘>의 경우 멕시코로, <천국의 그림자>, <오징어 노동조합>, <타타아나, 당신의 스카프를 조심하세요>에서는 에스토니아로 떠난다. 카우리스매키는 또한 의도적으로 1960년대와 1970년대를 상기시키는 등장인물들, 물건들, 배경을 사용한다.[40]
카우리스매키는 프랑스 영화 감독들인 장피에르 멜빌, 자크 베케르, 로베르 브레송과 일본 영화 감독인 오즈 야스지로, 미국 영화 감독인 존 카사베츠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의 영향도 보인다는 평을 받는다. 또한 짐 자무시의 영화와도 같은 희극적 측면들도 보이는데, 자무시는 카우리스매키의 영화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에 카메오로 출연하기도 했다. 짐 자무시의 영화 <지상의 밤>에는 카우리스매키의 영화에 자주 출연하는 배우들이 나오기도 하며 또 영화 일부는 헬싱키에서 촬영되었다.
카우리스매키는 영화에서 디지털 기법의 사용에 대해 비판적인데 "악마의 발명품"[43]이라며 "나는 평생 디지털 영화를 찍지 않을 것이다"라고 했다.[44] 하지만 2014년 3월에 그는 "나의 조촐한 영화 작품들이 앞으로도 관객들과 만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재 유통되는 디지털 형태와 미래의 어떤 다른 형태들로 변환되어야 할 것이다"라며 디지털 기술과 결국 화해했다.[43]
4. 정치적 견해 및 사회 참여
카우리스매키는 영화를 통해 정치적 견해를 드러내고 사회 문제에 참여하는 감독이다. 그의 작품은 핀란드 사회의 어두운 면을 비추고, 소외된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변화를 촉구한다. 그는 핀란드의 난민 정책과 노동 계급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으며, 핀란드의 NATO 가입과 2023년 가자지구 이스라엘 침공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4. 1. 난민 문제
카우리스매키는 핀란드의 난민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그는 2007년 영화학자 앤드류 네스팅겐과의 인터뷰에서 "진정 망신스러운 것은 핀란드의 난민 정책이다. 엉성하기 짝이 없는 근거로 난민 자격을 박탈했고 소위 안전한 곳이라는 다르푸르, 이라크, 소말리아 같은 곳들로 보냈다. 참으로 안전한 곳들 아닌가? 우리의 정책은 북유럽 국가들 가운데 오점을 남겼다. 부끄러울 뿐이다"라고 비판했다.[54][17]2019년 12월, 카우리스매키는 2019년 영국 총선에서 제러미 코빈이 이끄는 영국 노동당을 지지하는 42명의 문화계 인사들의 성명서에 참여했다. 이 성명은 "제러미 코빈이 이끄는 노동당은 개인의 영리와 소수 기득권의 이익 보다 모든 이들과 지구를 위한 시급한 필요성에 우선순위를 맞추는 개혁을 추구한다"고 했다.[51][52][14][15]
카우리스매키는 이민으로 인한 유럽의 위기에 대한 현실적 어려움들을 회피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핀란드에 2만 명의 이라크 난민들이 들어왔을 때, 그는 "이를 마치 전쟁과도 같은 공격으로 바라보는 핀란드의 인식을 바꾸고 싶다"고 했다. 그는 난민들에게 문을 활짝 열어준 메르켈 총리를 언급하며 "나는 메르켈 총리를 존경한다. 그녀는 이 문제에 대해 최소한 관심이라도 보이는 유일한 정치인이다"라고 했다.[53][16]
2023년에는 핀란드의 NATO 가입에 반대한다고 밝혔다.[5] 또한, 2023년 가자지구 이스라엘 침공 중 민간인 살해를 중단하고 휴전을 요구하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다.[18][19][20]
4. 2. 노동자 계층에 대한 관심
카우리스매키의 작품들은 핀란드 정부가 노동자 계층을 대하는 방식과 계층 구조가 사회, 정치적으로 미치는 영향, 그리고 하층 노동자들을 낡은 기계 부품처럼 취급하는 경제적 불평등을 보여준다.[55][13]2019년 12월, 카우리스마키는 제러미 코빈 영국 노동당 대표를 지지하는 42명의 문화계 인사 중 한 명이었다. 이들은 2019년 영국 총선에서 "제러미 코빈의 노동당은 소수의 사적 이익과 기득권보다 사람들과 지구의 필요를 우선시하는 변혁적인 계획을 제시한다"고 밝혔다.[14][15]
4. 3. 기타 사회 참여
2019년 12월, 카우리스매키는 제러미 코빈이 이끄는 영국 노동당을 지지하는 42명의 문화계 인사들의 성명서에 참여했다. 이 성명은 "제러미 코빈이 이끄는 노동당은 개인의 영리와 소수 기득권의 이익보다 모든 이들과 지구를 위한 시급한 필요성에 우선순위를 맞추는 개혁을 추구한다"고 했다.[51][52]카우리스매키는 핀란드의 이민 정책을 비판해왔다. 핀란드에 2만 명의 이라크 난민들이 들어왔을 때, 그는 "이를 마치 전쟁과도 같은 공격으로 바라보는 핀란드의 인식을 바꾸고 싶다"고 했다. 그는 난민 문제에 대한 영화를 만들기로 결심했으며, 난민들에게 문을 열어준 독일 총리를 언급하며 "나는 메르켈 총리를 존경한다. 그녀는 이 문제에 대해 최소한 관심이라도 보이는 유일한 정치인이다"라고 했다.[53]
2007년 영화 학자 앤드류 네스팅겐과의 인터뷰에서 카우리스매키는 "진정 망신스러운 것은 여기 핀란드의 난민 정책이다. 정말 수치스럽다. 엉성하기 짝이 없는 근거로 난민 자격을 박탈했고 소위 안전한 곳이라는 다르푸르, 이라크, 소말리아 같은 곳들로 보냈다. 참으로 안전한 곳들 아닌가? 우리의 정책은 북유럽 국가들 가운데 오점을 남겼다. 부끄러울 뿐이다"라고 했다.[54]
카우리스매키의 작품들에는 핀란드 정부가 노동자 계층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그의 입장이 담겨있다. 그는 계층 구조가 사회적, 정치적으로 미치는 영향들과 하층 노동자들을 낡은 기계 부품처럼 취급하는 경제적 불평등을 비판한다.[55]
2023년 그는 핀란드의 NATO 가입에 반대한다고 밝혔다.[5]
2023년 12월, 카우리스매키는 2023년 가자지구 이스라엘 침공 중 민간인 살해 중단과 휴전을 요구하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다. 이 서한은 리베라시옹에 게재되었으며, 인도적 지원을 위한 통로 마련과 인질 석방을 요구했다.[18]
5. 기타
1989년 그는 아내 파울라 오이노넨(Paula Oinonen)과 함께 "헬싱키 어디에도 카메라를 놓을 곳이 없다"라는 이유로 포르투갈로 이민을 갔으며[4], 2023년 현재까지도 포르투갈에 거주하고 있다.[5]
5. 1. 안도라 복합문화공간
카우리스마키는 헬싱키에 영화관, 여러 바, 로베르 브레송(Robert Bresson)의 ''돈(L’Argent)'' 포스터가 크게 걸린 당구장 등을 갖춘 복합 문화 공간 안도라(Andorra)를 공동 소유하고 있다.[6] ''레닌그라드 카우보이스 미트 모세스(Leningrad Cowboys Meet Moses)''에 나온 주크박스도 있다.[6]6. 작품 목록
아키 카우리스매키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제목 | 감독 | 각본 | 제작 | 편집 | 비고 |
---|---|---|---|---|---|---|
1983 | 쓸모없는 것들 (The Worthless) | 아니오 | 예 | 아니오 | 아니오 | |
1984 | 클랜 - 개구리들의 이야기 (The Clan - Tale of the Frogs) | 아니오 | 예 | 아니오 | 아니오 | |
1985 | 오징어 연합 (Calamari Union) | 예 | 예 | 예 | 예 | 작곡가도 맡음 |
1985 | 로쏘 (Rosso) | 아니오 | 예 | 아니오 | 아니오 | |
1987 | 최종 정리 (The Final Arrangement) | 아니오 | 예 | 예 | 아니오 | |
1987 | 햄릿이 사업을 하다 (Hamlet Goes Business) | 예 | 예 | 예 | 아니오 | |
1989 | 더러운 손 (Dirty Hands) | 예 | 예 | 아니오 | 아니오 | TV 영화 |
1994 | 타티아나, 스카프를 조심해 (Take Care of Your Scarf, Tatiana) | 예 | 예 | 예 | 예 | |
1999 | 유하 (Juha) | 예 | 예 | 예 | 예 |
'''단편 영화'''
연도 | 제목 | 감독 | 각본 | 제작 | 편집 | 비고 |
---|---|---|---|---|---|---|
1981 | 거짓말쟁이 (The Liar) | 아니오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중편 영화 |
1986 | 록키 6 (Rocky VI) | 예 | 예 | 예 | 예 | |
1992 | 똥도 일이다 (Shit Happens) | 아니오 | 아니오 | 예 | 예 | |
1996 | 취업 알선업자 (Employement Agent) | 예 | 예 | 예 | 예 | |
2002 | 개들에게 지옥은 없다 (Dogs Have No Hell) | 예 | 예 | 예 | 예 | 옴니버스 영화 텐 미닛츠 - 트럼펫 (Ten Minutes Older - The Trumpet)에 수록된 단편 영화 |
2004 | 비코 (Bico) | 예 | 예 | 예 | 예 | 옴니버스 영화 유럽의 비전 (Visions of Europe)에 수록된 단편 영화 |
2006 | 주조 공장 (The Foundry) | 예 | 예 | 예 | 예 | 옴니버스 영화 각자의 영화관 (To Each His Own Cinema)에 수록된 단편 영화 |
2012 | 여관 주인 (Tavern Man) | 예 | 예 | 예 | 예 | 옴니버스 영화 센트로 이스토리코 (Centro Histórico)에 수록된 단편 영화 |
'''뮤직비디오'''
연도 | 제목 | 감독 | 각본 | 제작 | 편집 |
---|---|---|---|---|---|
1987 | Thru the Wire | 예 | 예 | 예 | 예 |
Rich Little Bitch | 예 | 예 | 예 | 아니오 | |
L.A. Woman | 예 | 예 | 예 | 아니오 | |
1992 | Those Were The Days | 예 | 예 | 예 | 예 |
1993 | These Boots | 예 | 예 | 예 | 예 |
1996 | Always Be a Human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배우로서 참여한 작품'''
- ''거짓말쟁이 (The Liar)'' (1981)
- ''쓸모없는 것들 (The Worthless)'' (1982)
- ''Huhtikuu on kuukausista julmin'' (1983)
- ''Apinan vuosi'' (1983)
- ''Viimeiset rotanrahat'' (1985)
- ''오징어 연합 (Calamari Union)'' (1985)
- ''Ylösnousemus'' (1985)
- ''천국의 그림자 (Shadows in Paradise)'' (1986)
- ''록키 6 (Rocky VI)'' (1986)
- ''나는 살인 청부업자를 고용했다 (I Hired a Contract Killer)'' (1990)
- ''똥도 일이다 (Shit Happens)'' (1992)
-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모세를 만나다 (Leningrad Cowboys Meet Moses)'' (1994)
- ''Iron Horsemen'' (1994)
- ''Mustasilmä-Susanna ja lepakkoluolan aarre'' (1996)
- ''Aaltra'' (2004)
- ''Vandaleyne'' (2015)
6. 1. 장편 영화
연도 | 제목 | 비고 |
---|---|---|
1983 | 죄와 벌 | |
1986 | 천국의 그림자 | |
1988 | 아리엘 | |
1989 |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 | |
1990 | 나는 살인 청부업자를 고용했다 | |
1990 | 성냥공장 소녀 | |
1992 | 보헤미안의 삶 | |
1994 |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모세를 만나다 | |
1996 | 어둠은 걷히고 | |
2002 | 과거가 없는 남자 | |
2006 | 황혼의 빛 | |
2011 | 르 아브르 | [21] |
2017 | 희망의 건너편 | [22] |
2023 | 사랑은 낙엽을 타고 | [23] |
6. 2. 다큐멘터리
연도 | 제목 | 감독 | 각본 | 제작 | 비고 |
---|---|---|---|---|---|
1981 | 사이마 제스처 | 예 | 미기재 | 미기재 | 미카 카우리스마키와 공동 감독 |
1994 | 토탈 발랄라이카 쇼 | 예 | 예 | 예 | |
2013 | 주스 레스키넨 & 그랜드 슬램: 피에크사매키 역 블루스 | 예 | 개념 | 예 | 단편 다큐멘터리 |
7. 수상 내역
아키 카우리스매키의 영화 아리엘(1988년)은 제16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 상을 받았다.[46][24]
아키 카우리스매키의 영화 중 가장 호평을 받은 과거 없는 남자는 2002년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와 심사위원상을 받았고,[47][25] 2003년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어 영화 부문 후보에 올랐다. 하지만 카우리스매키는 전쟁 중인 나라에서 파티를 하는 것 같은 느낌이라며 참석을 거부했다. 그의 다음 영화인 황혼의 불빛도 외국어 영화 부문에 올랐으나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외교 정책에 반대하며 후보 지명을 거부하고 참석하지 않았다. 2002년에는 이란 영화 감독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40회 뉴욕 영화제 참석을 위한 미국 입국 비자가 거부된 것에 항의하며 불참했다.[48][26]
제6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카우리스매키는 2017년 영화 희망의 저편으로 최우수 감독 은곰상을 받았고,[49][27] 이 영화제에서 이 영화가 자신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발표했다.[50] 그러나 2022년 영화 낙엽 촬영을 시작하면서 은퇴는 짧았다. 이 영화는 2023년 칸 영화제에서 초연되었다.[28] 카우리스마키는 폴 토머스 앤더슨에 이어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 그랑프리를 세 번째로 수상한 두 번째 감독이 되었다.[29]
참조
[1]
뉴스
Explaining the Finnish love of tango
https://www.economis[...]
2017-10-11
[2]
웹사이트
10 Essential Aki Kaurismaki Films
https://www.highonfi[...]
2019-12-17
[3]
웹사이트
Aki Kaurismäki Finds Laughter in the Dark
https://www.tiff.net[...]
[4]
서적
Aki Kaurismäki
Bertz + Fischer Verlag
2006
[5]
뉴스
Kaurismäki about war in Ukraine, love, Chaplin, and asparagus
https://nordiskfilmo[...]
Nordisk Film & TV Fond
2023-05-24
[6]
뉴스
Aki Kaurismäki: 'I can watch Marvel movies – if it's Sunday and I'm hungover'
https://www.theguard[...]
2017-05-26
[7]
서적
The Cinema of Aki Kaurismäki: Contrarian Stori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06
[8]
웹사이트
FilmGoer - Suomi- ja suomalaisuudenkuva Kaurismäen veljesten tuotannossa
http://www.filmgoer.[...]
[9]
뉴스
Le Havre – review
https://www.theguard[...]
2012-04-05
[10]
뉴스
The Man Without A Past
http://rogerebert.su[...]
2003-06-27
[11]
웹사이트
Aki Kaurismäki Crosses the Digital Rubicon
http://anttialanenfi[...]
Antti Alanen: Film Diary
2014-03-28
[12]
웹사이트
"I am a filmmaker not a pixelmaker" - An interview with Aki Kaurismäki
http://www.philonfil[...]
Phil on Film
2012-04-02
[13]
웹사이트
An Aki Kaurismaki Film
https://medium.com/@[...]
2014-10-06
[14]
뉴스
Vote for hope and a decent future
https://www.theguard[...]
2019-12-03
[15]
뉴스
Coogan and Klein lead cultural figures backing Corbyn and Labour
https://www.theguard[...]
2019-12-03
[16]
웹사이트
Filmmaker Aki Kaurismäki takes unusual approach to refugee issue | DW | 29.03.2017
https://www.dw.com/e[...]
[17]
웹사이트
The Finnish Director Making the Most Interesting Movies About Immigration
https://www.theatlan[...]
2017-12-08
[18]
뉴스
Gaza : des cinéastes du monde entier demandent un cessez-le-feu immédiat
https://www.liberati[...]
2023-12-28
[19]
웹사이트
Claire Denis, Ryusuke Hamaguchi, Kiyoshi Kurosawa, Christian Petzold, Apichatpong Weerasethakul & More Sign Demand for Ceasefire in Gaza
https://thefilmstage[...]
2023-12-29
[20]
뉴스
Directors of cinema sign petition for immediate ceasefire
https://www.jpost.co[...]
2023-12-31
[21]
웹사이트
Match Factory picks up Kaurismäki's Le Havre
https://cineuropa.or[...]
2010-02-17
[22]
웹사이트
"Aki Kaurismaki's Next Film 'The Other Side Of Hope' Gearing Up"
https://www.indiewir[...]
2016-04
[23]
웹사이트
Aki Kaurismäki Reveals New Film, First Cast Members
https://variety.com/[...]
2022-06-10
[24]
웹사이트
16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89)
https://web.archive.[...]
[25]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The Man Without a Past
https://web.archive.[...]
[26]
뉴스
One Visa Problem Costs a Festival Two Filmmakers
https://www.nytimes.[...]
2002-10-01
[27]
웹사이트
Berlin: Aki Kaurismaki Wins Best Director for 'The Other Side of Hope'
https://www.hollywoo[...]
2017-02-18
[28]
웹사이트
Legendary filmmaker Aki Kaurismäki: There will be no more films
http://yle.fi/uutise[...]
2017-02-16
[29]
웹사이트
Kansainvälinen kriitikkojärjestö valitsi Aki Kaurismäen elokuvan vuoden parhaaksi
https://www.hs.fi/ku[...]
2023-08-23
[30]
웹사이트
Cannes Awards: 'Anatomy of a Fall' Takes Palme d'Or, 'The Zone of Interest' and 'The Pot au Feu' Among Winners
https://variety.com/[...]
2023-05-27
[31]
웹사이트
金熊賞はハンガリー作品!畜殺場舞台の奇妙なラブストーリー【第67回ベルリン国際映画祭】
https://www.cinemato[...]
シネマトゥデイ
2017-02-19
[32]
웹사이트
『ル・アーヴルの靴みがき』のカウリスマキ監督 「映画制作やめる」
https://www.afpbb.co[...]
AFP BB News
2017-02-17
[33]
웹사이트
Aki Kaurismäki
https://www2.bfi.org[...]
BFI
[34]
웹사이트
映画『枯れ葉』公式サイト
https://kareha-movie[...]
ユーロスペース
2023
[35]
뉴스
Explaining the Finnish love of tango
https://www.economis[...]
2017-10-11
[36]
웹사이트
10 Essential Aki Kaurismaki Films
https://www.highonfi[...]
2019-12-17
[37]
서적
Aki Kaurismäki
Bertz + Fischer Verlag
2006
[38]
웹사이트
Aki Kaurismäki Finds Laughter in the Dark
https://www.tiff.net[...]
[39]
서적
The Cinema of Aki Kaurismäki: Contrarian Stori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06-01
[40]
웹사이트
FilmGoer - Suomi- ja suomalaisuudenkuva Kaurismäen veljesten tuotannossa
http://www.filmgoer.[...]
[41]
웹사이트
Le Havre – review
https://www.theguard[...]
2012-04-05
[42]
웹사이트
The Man Without A Past
http://rogerebert.su[...]
2003-06-27
[43]
웹사이트
Aki Kaurismäki Crosses the Digital Rubicon
http://anttialanenfi[...]
Antti Alanen: Film Diary
2014-03-28
[44]
웹사이트
"I am a filmmaker not a pixelmaker" - An interview with Aki Kaurismäki
http://www.philonfil[...]
Phil on Film
2012-04-02
[45]
웹사이트
Aki Kaurismäki: 'I can watch Marvel movies – if it's Sunday and I'm hungover'
https://www.theguard[...]
2017-05-26
[46]
웹사이트
16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89)
http://www.moscowfil[...]
[47]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The Man Without a Past
http://www.festival-[...]
[48]
웹사이트
One Visa Problem Costs a Festival Two Filmmakers
https://www.nytimes.[...]
2002-10-01
[49]
웹사이트
Berlin: Aki Kaurismaki Wins Best Director for 'The Other Side of Hope'
https://www.hollywoo[...]
2017-02-18
[50]
웹사이트
Legendary filmmaker Aki Kaurismäki: There will be no more films
http://yle.fi/uutise[...]
2017-02-16
[51]
뉴스
Vote for hope and a decent future
https://www.theguard[...]
2019-12-03
[52]
뉴스
Coogan and Klein lead cultural figures backing Corbyn and Labour
https://www.theguard[...]
2019-12-03
[53]
웹사이트
Filmmaker Aki Kaurismäki takes unusual approach to refugee issue | DW | 29.03.2017
https://www.dw.com/e[...]
[54]
웹사이트
The Finnish Director Making the Most Interesting Movies About Immigration
https://www.theatlan[...]
2017-12-08
[55]
웹사이트
An Aki Kaurismaki Film
https://medium.com/@[...]
2014-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